회사에서 업무 자동화 Tool로 파이썬을 권장하고 있어서 여러 버전을 설치해 보면서 간단한 업무 자동화에 활용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Python 여러가지 버전 설치시 사용방법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저는 현재 3.8 / 3.10 / 3.11 이렇게 세가지 버전을 설치하여 사용중인데요, 이유는 개발중인 프로그램들이 사용하는 패키지 / 라이브러리의 호환성 때문입니다. 어떤 라이브러리는 3.8버전에 A라이브러리 2.5버전, B라이브러리 3.4버전 이런식으로 상호 호환이 되는 것이 정해져 있어서 여러가지 버전의 파이썬을 사용하는 것은 불가피 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패키지 / 라이브러리의 호환성 복잡도가 증가하면 종착역이라 할 수 있는 가상환경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는데요, 가상환경을 셋업할 때도 Python의 여러가지 버전을 오가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아래 내용을 잘 이해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Python 여러가지 버전 설치시에는 아래와 같이 C: 아래 버전별 폴더를 명시하여 설치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이유는 패키지 / 라이브러리 설치 및 관리를 위해 PowerShell이나 Command Prompt에서 명령을 입력하실 경우가 많으실 텐데 아무래도 경로가 짧은 것이 작업하기 편한측면이 있기 때문입니다.
자 이제 PowerShell 창을 하나 열고 Python을 실행해 보겠습니다.
제가 Python 버전을 명시하지 않았는데, 3.8버전이 실행되었습니다.
여러가지 버전이 설치된 환경에서 Python 버전을 명시하지 않고 실행시, 환경변수에서 가장 위쪽에 있는 Python이 실행됩니다. 환경변수 편집은 시스템 속성 → 고급 → 환경 변수 → Path선택 → 편집 → 위로 이동/아래로 이동으로 순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설치된 다른 버전의 파이썬은 어떻게 실행하고 관리할 수 있을까요?
아래와 같은 명령줄로 실행합니다.
py -실행시키려는 파이썬 버전
실제 터미널에 입력해 보겠습니다.(Ctrl + Z)후 Enter 키를 누르면 Python 실행이 종료됩니다.
위와 같이 버전별로 Python이 실행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8 버전의 경우 환경변수에서 가장 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python이라고 입력을 해도 되고, py -3.8로 입력을 해도 됩니다. 실제로 그런지 명령을 내려 보겠습니다.
python, py -3.8 명령 모두 Python 3.8 버전을 실행시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Python 버전별로 어떤 패키지 / 라이브러리가 설치되어 있는지 간단히 확인해 보고 마치겠습니다.
아래와 같은 명령줄로 파이썬 특정 버전에 설치되어 있는 패키지 / 라이브러리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py -실행시키려는 파이썬 버전 -m pip list
3가지 버전 모두 pip와 setuptools 만 설치되어 있어 동일한 듯 보이지만, 각자 버전이 다른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Python 버전 | pip 버전 | setuptools 버전 |
3.8 | 21.1.1 | 56.0.0 |
3.10 | 24.3.1 | 75.8.0 |
3.11 | 24.0 | 65.5.0 |
다음 포스팅에서는 Python 버전별로 패키지 / 라이브러리를 설치 및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